•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비정규직이 왜생겼지?

ㅇㅇ IP: *.62.202.166
251 0 3
업무에대한 전문성
책임에따른 댓가.
차별은 없되 차이는 있어야하는것은 맞다.
그게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관계가 아닌 비지니스와 비지니스의 관계에서는 말이다.

공기업이 생긴이유. 공무원의 정책결정및 집행업무를 분담하기위해 생김.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무원 1명을 뽑는것보단 공기업 2명을 뽑는것이 효율적이라 판단.
협력업체가 생긴이유. 기업의 효율적인 업무분담과 재정확보를 위해 직원1명을 뽑는것보단 공사대금지급액을 지불하는것이 효율적이라 판단.

그래 여기까진 좋았다. 근데 협력업체사장들이 문제점의 발단인듯하다. 정부정책사업을 집행하는 공기업에서는 공사기준법및. 근로기준법에따라 전문인력당 정당한 댓가를 가산하여 지불한다. 하지만 이를 행동하는 협력업체사장들이. 어떻게든 절약해 자기배 불려보겠다고 비정규직을 뽑은것으로 부터 문제의 발단이 시작된다.
또한 이를본받아. 비정규직 인턴제도를. 만들어뽑는 정부와 그 지자체도 힐난을 받아 마땅하다.
왜 정규직과 정규직의 관계 B2B의 관계에서 산업이 발전하지 못할까?
공기업현직으로서 공사감독을 한다. 선배때부터 줄곧 사업맡아온 협력업체 사장은 모두정규직과 일부 일당인부를 데리고 공사를 진행해온다. 선배한데 배웠듯이 업체가 직원에게 제대로 임금을 지불하는지, 차별은 없는지 부터 시작해 시방서에 명시하고. 감독인 내가 스스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공사를 진행해간다.
또한 입찰경쟁에서도 사업계획서에. 계약직을 과다하게 넣는기업이 있으면 바로 컷트시키는 선배의 앞선 선례가있기에 업체에서도 쉽게 그러려고도 그렇지도 않으려한다.
만약 그 기업이 직원에 대한 임금체납이나 불이익이 있으면 공사대납금을 연기하고 업체사장돈줄을 쥠으로써 업체 직원들의 처우개선에 노력하고있다.
이로써 업체 직원들은 하나같이 만족하고, 나를 잘 도와준다.
이렇듯 정부에서 일하는 공무원, 공기업직원들이 조금만 모니터링을 과 처신을. 잘했어도 비정규직이라는 단어가 생기지도 않았다.
차별은 있되 차이는 있으면 안된다. 반성하자 현직들아.
그리고. 취준생들은 차이는 인정하자
신고스크랩

댓글 3

댓글 쓰기
운영규정 및 가이드라인 위반 댓글은 경고조치 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게시물(광고, 선정적 및 어그로 등) 신고방법은 댓글로 운영진을 @멘션하거나 게시물 삭제 혹은 공식메일로 URL or 캡쳐본 보내주시면 빠르게 처리하겠습니다.

※ 글쓴이에 대한 과도한 인신공격을 삼가주시길 바라며, 본인의 댓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본인 에게 있습니다.
ㅅ뭉 (IP: *.62.162.94)
깨인척하나 오지네 그게 비단 너 하나만의 문제라고 생각하냐 좀 닥치고 살아라..깨인척 손발이 오그라든다
08:43
17.05.28.
전기 (IP: *.62.188.226)
공기업에도 비정규직이 있다.
하청사장과 그걸 제대로 감독 하지않는 공무원,공기업 때문에 생기는게 아닐탠대?
09:10
17.05.28.
ㅇㅇ (IP: *.180.85.70)

왜 생기긴 돈아낄려고 생긴거지 별소릴 다하네

09:31
17.05.28.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삭제

"비정규직이 왜생겼지?"

이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