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코레일 ncs나 전공 공부는 어떤식으로 준비해야할까요

ㅇㅇ IP: *.241.128.42
335 1 9

전통 희망하는데   ncs나  전공 공부를 대체 어떻게시작해야할지.. 

책이나 인강으로하나요?     그렇다면 책추천 인강추천도 부탁드립니다..

노베기준으로ㅠㅠ

신고스크랩

댓글 9

댓글 쓰기
운영규정 및 가이드라인 위반 댓글은 경고조치 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게시물(광고, 선정적 및 어그로 등) 신고방법은 댓글로 운영진을 @멘션하거나 게시물 삭제 혹은 공식메일로 URL or 캡쳐본 보내주시면 빠르게 처리하겠습니다.

※ 글쓴이에 대한 과도한 인신공격을 삼가주시길 바라며, 본인의 댓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본인 에게 있습니다.
ㅇㅇ (IP: *.241.128.42)
pq
네 정보통신 전공인데 학점2점후반이라 전공지식 많이부족해요
21:57
24.06.03.
PQ (IP: *)
삭제된 댓글입니다.
00:02
24.06.04.
pqqq (IP: *)
ㅇㅇ
보통 공기업 전기직 전공시험의 범위는

전기기사 혹은 전기쌍기사 필기과목이라

자격증 수험서를 충실히 보면 되지만,

전자통신직은 대학과정에서 낸달까

전자 정보통신 무선설비 기사필기에

없다시피한 신호시스템과 통신이론이

나오기에 기사수험서만으로 준비할게

아니라 공사·공무원 수험서를 봐야할걸요.

시험범위 과목도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기에

전기이론, 전자회로·반도체, 디지털·컴퓨터구조,

신호시스템·통신이론, 데이터통신·네트워크,

전파·무선공학 등 여러 과목과 내용을 알아둬야

여러 시험에서 점수를 받을수 있으리라 보입니다.FunPic_20240603_222119506.jpg

많은 공·사기업에선 전기직과 통신직이 별개고

여러 지하철에선 전기/신호/전자통신직이 별개고

경전철에선 기계·전기/신호·통신 으로 나뉜다는데

코레일은 기괴하게 '전기통신'이라는 이름으로

전기·신호·전자통신직을 통으로 뽑고 있으며,

시험또한 전기기사 필기과목과 통신공학을

함께 출제하기에 범위가 넓어 어려울것 같네요.

특히 전기전자쪽 전공자 중에도 전기 위주로

배워서 전자컴퓨터통신을 잘 모르거나

정보통신 위주로 배워서 전기이론이

가물가물하고 전력시설과 전기기계가

생소한 사람들이 다소 있을텐데, 이런

경우에 특히 준비가 더욱 필요하겠죠.

22:30
24.06.03.
pq++ (IP: *)
ㅇㅇ
♧지방사립대요?

문부수고 입학해서 전액장학금 

받았거나, 모의고사·수능 국어수학 

실력 좋았는데 영어 과학 역사가 

꽝이었던 건가요? 그게 아니라면...

코레일 전기통신직을 비롯하여

여러 이름있는 공사공단에 시험쳐서

꼭 들어가겠단 생각은 접으시길 바라고,

특히 철도기관사가 되겠다는 생각은

치명적이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합니다.

흔히 요즘 공사들 채용이 학력무관에

블라인드라 하지만, NCS란 시험이

수능형 언어수리 사고력 시험이기에

실질적으론 학벌순 선별에 가까우며

재능성 시험이라 연습을 많이 해도

별로 늘지 않는 시험이라 하거든요.

ZomboDroid_03062024111938.jpgpic20230803220107.jpg20240603_235307.png

공기업 시험준비에 매달리면

이렇게 망가지기도 한답니다.

이렇게 되긴 분명 싫으시겠죠?

IMG_20230507_132730.jpg


♧그러니, 이런 곳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1. 사기업,

2. NCS를 보지않는

    일부 공공기관 신입/경력 채용,

3. NCS를 보더라도

    인지도와 선호도가 낮은 공공기관.

ZomboDroid_03062024113435.jpgZomboDroid_12052024064609.jpgZomboDroid_03062024113603.jpg

여기서 3번의 입사를 위해 NCS기본서를 보는건

좋다고 봅니다. 위에서 NCS가 오르지 않는

재능빨 시험이라고는 했지만 문제유형을 한번

익혀두는 정도는 도움이 될수 있을테니까요.

몇몇 지방사립대 진학자들은 '사기업이 학력을

보기에 자신은 학력을 안보는 공기업 입사가

수월하고 유리할 것'이라 생각하는데, 정말

잘못된 시각입니다. 공기업 다수는 위에서

말했듯 수능형 시험 즉 학벌이 중요하고

사기업은 학력을 보지만 맹목적으로 학벌만

중시하는게 아니라 직무관련 전공자와

자격소지자를 선호하거나 요구하고,

유명 대기업이나 외국계 등의 영업기획

연구개발 같은 곳이야 가방끈을 많이

따지겠지만 그런데가 전부는 아니니까요.


♧어떤 회사냐를 떠나, 직종은 어떻게 생각하시죠.

정보통신과니 전자제조나 통신기기나 전산관련

직종으로 취업하는게 일반적인 진로일텐데,

전기나 자동제어나 기계설비 쪽으로

자격증을 따든가 해서 전기나 기계직으로

취업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 봅니다.

공공기관에는 전산이나 전자통신직보다

전기와 기계직이 훨씬 많기도 할거고요.

여기 드림레일을 어떻게 알고 오셨는지

모르겠지만 철도가 좋다면 차량점검업체,

차량(기기)제조사 전자제어설계/기기제작,

신호통신기기제조사 설계/현장점검 쪽도

좋아보입니다. 이런데서 일하다보면

경전철 기술직으로도 갈수있어 보이고요.

00:10
24.06.04.
ㅇㅇ (IP: *)
코레일은 이번 전기가 특이케이스지 전공은 존나 쉬움
21:57
24.06.03.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삭제

"코레일 ncs나 전공 공부는 어떤식으로..."

이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