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합격 가능할까요?

ㅇㅇ IP: *.33.104.112
631 0 9

제가 현재 토목관련학과 2학년이고, 내년에 휴학한 다음에 상반기 코레일 토목 충청권 시험이랑 서교공 토목직을 보려고 합니다. 2학기 마치고 겨울방학때부터 준비하면 합격가능할까요?

신고스크랩

댓글 9

댓글 쓰기
운영규정 및 가이드라인 위반 댓글은 경고조치 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게시물(광고, 선정적 및 어그로 등) 신고방법은 댓글로 운영진을 @멘션하거나 게시물 삭제 혹은 공식메일로 URL or 캡쳐본 보내주시면 빠르게 처리하겠습니다.

※ 글쓴이에 대한 과도한 인신공격을 삼가주시길 바라며, 본인의 댓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본인 에게 있습니다.
ㅇㅇ (IP: *.101.3.55)
코레일은 뽑을지 모르겠네 공단으로 가네 어쩌네 하고있어서
23:50
23.05.28.
이봐요 그냥 토목과라고만 말하면 어떡합니까

어느 학교인지, 하다못해 뭐뭐뭐쯤 된다고 밝혀야지

02:34
23.05.29.
토목홧팅 (IP: *.36.139.138)
ㅇㅇ
6d21e71724bf2ba2f52adecbbfa640ad0318b9eb0e87969ff261c639a8f938ca.png

철도운영기관 토목직은 선로보수원으로 힘들다고 알려져 있고, 그럼에도 취업난과 공공기관 선호속에 토목 전공자들 사이에선 선호도와 입사문턱이 높을수 있으니 쉽게 보긴 어려울듯합니다.


또한 코레일이나 다른 여러 공공기관에선 토목 등 기술직 채용에 기사수준 전공시험을 보기도 하고 토목과라면 취업의 폭도 넓으니 당장 휴학하여 철도운영사와 공공기관만을 준비하기보다는, 학교를 계속 다녀서 전공실력을 쌓아 쌍기사와 학력을 챙기고서 공/사 기업에 여기저기 써보는 길을 권합니다.


건설업이 타지생활과 연장근무 등으로 힘든게 싫다면 설계나 구조물 진단이나 건설재료 제조업이 있을거고, 큰 병원이나 공장에서 공사계획관리를 담당하는 토건직이 있기도 할겁니다.  공공기관을 원한다면 철도 외에 발전소와 공항에도 토목직이 있고, 그런데가 어렵다면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기관들을 여기저기 찾아 써볼수 있겠죠.


아, 혹시 철도든 뭐든 고졸채용을 써서 갈수있는 곳들이 있다면 휴학해서 도전하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서교공은 공고 졸업반 추천자를 받는 식이라 알고 있는데 이런 경우는 못쓸거고, 코레일은 그렇지 않은 고졸공채가 있는것 같던데 그런건 노려볼만하겠죠.

03:24
23.05.29.
토목홧팅
장문좀 쓰지마좀 아무도안봐인마
13:24
23.05.29.
6969 (IP: *)
99
너같은 빡대가리 보라고 쓴글 아니니까 보기싫으면 주둥아리 싸물고 꺼져
16:40
23.05.29.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삭제

"합격 가능할까요?"

이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