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2022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개정3판 1쇄) 정오표 [6.12 최종 작성완료]

입교도우미
4119 1 87

2022 책 표지.jpg

 

 

 

2022년 상반기에 출간한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_개정3판_1쇄본 _정오표입니다.

 

 

길잡이가 되어야 할 수험서에 오류가 발생한 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오류 관련 사항은 저희 드림레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출판사에 문의하실 경우 답변이 다소 늦을 수 있으며, 업무지연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6월 1일에 최종작성 되었습니다. 추후 변동사항 발생 시 제목 및 내용에 업데이트 됩니다.

 

 

 

 

 

2022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 정오표_1.jpg

2022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 정오표_2.jpg

2022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 정오표_3.jpg

 

2022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 정오표_4.jpg

 

 

 

 

 

 

 

 

 

 

 

 

 

 

 

 

 

 

 

 

 

 

 

 

 

 

 

[ P. 47 -  표 오류에 따른 대체이미지]

p.47 수정본.jpg

 

 

[ P. 518 -  표 오류에 따른 대체이미지]

 

 

[518, 705p 수정파일]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 대체이미지_1.jpg

 

[ P. 705 - 표 오류에 따른 대체이미지]

 

 

[518, 705p 수정파일] 철도관련법 한권으로 끝내기 대체이미지_2.jpg

 

 

 

 

 

 

------------일자별 업데이트 내역-------------

 

[1. 30 추가]

 

P. 501 - 철도차량 운전규칙 제 31조의 2항 본문 : -> 위한

 

P. 524 - 9번 문제: 틀린 -> 맞는

 

[2. 2 추가]

 

P. 522 - 2번 문제: 기존 문제 -> 삭제

 

P. 534 - 45번 문제: 열차자동정지장치 -> 열차자동제어장치

 

 

[2. 6 추가]

 

P. 474 - 147번 문제: 열차운행안전관리자 -> 철도운행안전관리자

 

 

[2. 7 추가]

 

P. 523 - 7번 문제 보기 1번: 기존보기 -> 여객승무원

P. 523 - 7번 문제 보기 2번: 기존보기 -> 철도차량을 연결분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

P. 523 - 7번 문제 보기 4번: 기존보기 -> 운전취급담당자

P. 523 - 7번 문제 해설: 기존 해설 -> 도서 494페이지 제62항 참고

P. 524 - 8번 문제 : 기존 문제 ->

다음 중 철도운영자등은 운전업무종사자, 운전업무보조자 및 여객승무원이 철도차량에 탑승하기 전 또는 철도차량의 운행중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보고ㆍ지시 또는 감독 등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갖춰야 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2. 8 추가]

 

P. 518, 705 - 92조 임시신호기 신호현시방식 표 中 야간 : 기존 내용 -> 각 칸 마다 기존 내용 + 또는 반사재

* 등황색등 -> 등황색등 또는 반사재

   흑생삼각형 3개를 그린 백색등 -> 흑색삼각형 3개를 그린 백색등 또는 반사재

  녹색등 -> 녹색등 또는 반사재

* 대체 이미지 참고바람

 

P. 548 - 49번 문제  보기 1번: 등황색등 -> 등황색등 또는 반사재

P. 553 - 17번 문제 보기 1번: 차량 -> 열차

P. 553 - 18번 문제 보기 4번: 무페색 -> 무폐색

P. 558 - 40번 문제  보기 4번: 녹색등 -> 녹색등 또는 반사재

 

 

[2. 10 추가]

 

P. 544 - 32번 문제 보기 2번: 열차없음 -> 열차있음

 

 

[2. 17 추가]

 

P. 506 -  49조 2항 6호: 자동열차제어장치 -> 열차제어장치

 

 

[3. 10 추가]

 

P. 529 -  27번 문제 4번 보기: 운전취급담당자 -> 철도운영자

 

[3. 14 추가]

 

P. 618 -  4번 문제 : 결과통보 -> 사고통보

P. 618 -  5번 문제 정답: 3번 -> 1번

P. 648 -  4번 문제 4번 보기: 운전업무 -> 관제업무

 

<부록 - 철규&도규 비교 표>

P. 697 -  도규 표: 26조 -> 38조

P. 699 -  철규 표 中  열차 등의 정지: 제 36조 1항 1호 내용 -> 삭제

 

 

[3. 21 추가]

 

P. 546 -  41번 문제 보기 4번 : 운전할 수 있다. -> 운전할 수 없다.

P. 546 -  41번 문제 정답 : 4번 -> 3번

 

 

[3. 24 추가]

 

P. 258 -  1항 15호 본문 : 기존내용 -> 61조 제1<사상자가 많은 철도사고등의 즉시 보고(의무보고)> 및 제61조의2 12<철도차량 등에 발생한 고장 등 보고 의무> 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자

 

 

[4. 1 추가]

 

P. 557 -  33번 문제 보기 3번 : 협의하여 이를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협의하지 않고 시행이 가능하다.

P. 557 -  34번 문제 보기 4번 : 운전하지 아니한다. -> 운전할 수 없다.

P. 557 -  34번 문제 정답 : 4번 -> 3번

 

[4. 8 추가]

 

P. 278 -  42번 문제 보기 3번 : 긴급히 -> 삭제

 

[4. 20 추가]

 

P. 47 -  학력 및 경력자 표 내용 中 책임검사관, 선임검사관 3번 항목 : 검사원 -> 검사관

 

[6. 1 추가]

 

P. 389 -  90번 문제 보기 4번 : 틀린 -> 맞는

P. 531 -  35번 문제 보기 4번 : 자동열차제어장치 -> 열차제어장치

P. 647 -  3번 문제 : 틀린 -> 맞는

 

 

[6. 12 추가]

 

P. 655 -  11번 문제  : 틀린 -> 맞는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87

댓글 쓰기
123
해당부분 상위 법인 철도안전법이 개정됨에 따라 하위 규정인 철도안전법 시행규칙도 개정되어야 하나 개정이 미처 안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철도경찰이 맞는 것이며, 시험에 논란이 될만한 문제는 출제하지 않으므로 철도공안/철도경찰 혼용해서 암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01:41
22.04.13.
372쪽 12번 보기2번 철도시설 또는 철도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순회점검업무 또는 경비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인데 철도시설 빠졌는데 괜찮은가요??
16:00
22.04.15.
바보
또는 이라 일부러 하나를 빼고 보기를 적어둔 것입니다. "또는"에서는 둘 중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01:25
22.04.16.
448p.35번 보기1번 100분의 5가 아니라 100분의 10아니에요?
19:45
22.04.18.
미안
+36번 과징금인데 4번보기 업무제한이 나와요
19:47
22.04.18.
미안
해당부분 100분의5가 100분의 10 이내에 해당되기에 이상없습니다.
또한 과징금 문제도 문제에 "갈음"하였을 때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상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스텝3는 100점 방지용 문제 및 난이도 상 문제를 모아놓았으므로 철도관련법을 완전히 마스터하지 않는 이상 문제풀이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법의 공부는 정독과 다독을 권해드립니다.
20:14
22.04.18.
다음 찍어낼 때 오타 수정 돼서 나오나요?

관제운영도 포함인가요?

14:16
22.04.21.
ㅇㅇ
오타 수정 되어 하반기에 출간 예정입니다.
관제운영규정은 현재 검토중에 있으나 미포함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제운영규정의 내용과 문제 추가 시 페이지가 늘어남에 따라 비용증가와 책의 두께 증가로 원활한 운영이 불가하다고 판단될 경우 미포함될 수 있습니다.
02:44
22.04.22.
ㅇㅇ
삭제된 댓글입니다.
22:33
22.05.05.
ㅇㅇㅇ
P.647 3번 문제
틀린->맞는 인거 같아요
17:26
22.05.06.
ㅇㅇㅇ
해당부분 확인결과, 문제 오류가 발견되었습니다.
틀린 -> 맞는 으로 수정부탁드립니다.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02:25
22.05.08.
ㅇㅇ
삭제된 댓글입니다.
18:56
22.05.06.
P389 90번 문제
틀린 것은 -> 맞는 것은? 으로 변경해야 할것같아요
10:53
22.05.12.
비싼돈주고샀는데 ...법령은 그냥 법제처에서 봐야겠네요 오류가 많아서 이거 믿을수가없네요 문제도그렇고 대신 직접찾는스킬이늘어서 오히려 실력이 증가? ㅋㅋ
01:20
22.06.03.
휴 ㅋ
법령은 법제처에서 확인하셔도 됩니다.
문제의 경우 동일 분야 도서에서 최다 문제가 수록되어 있으며, 법령 개정이나 기타 변동사항으로 문제가 변경, 수정되는 경우가 있고 여러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더욱 더 철저하게 작업하여 오류를 줄여나가려고 노력중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희 도서는 초반에 체계를 잡고나서는 직접 법령을 찾아보면서 법을 한번이라도 더 읽고 학습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법령의 깊이가 다르게 조금만 본 사람과 계속 본 사람의 차이가 엄청나게 큽니다. 더욱이 입교시험 이후 교육 중 법 과목을 소홀히 하더라도 조금이라도 기억에 남아있으려면 처음할 때 확실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7:34
22.06.07.
564p 도시철도운전규칙
제3절 통신설비는 가운데 정렬에 글씨크기 커야되고
제17조는 볼드 처리되어야 할것 같은데요~
15:03
22.06.06.
123
해당부분 인지하여 새로 작업 하는 도서에는 정상반영 되어있습니다.
내용 변화는 없지만 가독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17:31
22.06.07.
안녕안녕
p655 11번 문제 "틀린 것은?"이 아니라 "옳은 것은?" 아닌가요?
20:51
22.06.06.
안녕안녕
해당 부분 틀린 -> 맞는 으로 수정부탁드립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17:31
22.06.07.
P283 61번문제 취소에 해당되지않는 것을 고르는 문제인데
4번선지 또한 취소에 해당되는것으로 보이는데 아닌가요?
00:30
22.06.17.
철빡
할 수 있는, 하여야 하는 구분 바랍니다.
03:44
22.06.17.
글쓰니
P.655 12번
직무교육의 종류에 부서별 직장 교육이 있는데
3번을 보면 현장교육이라 되어있으며, 답에는 4번이라 되어있네욤...
21:42
22.06.23.
글쓰니
해당부분 확인결과, 정답을 4번에서 3번으로 수정부탁드립니다.
07:17
22.06.24.
P299 127번 문제
보기1이 틀린 문항이라 나와있는데
P97 규칙 제39조의2에서(관제업무 실무수습의 관리 등 = 운전업무 실무수습의 관리 등 으로 볼수있으니)
해당 규칙의 1번문항의 내용대로면
127번문제 보기1 내용도 맞는답 아닌가요?
03:54
22.06.26.
수석
해당부분 관제법령이 운전업무 법령을 준용하지 않습니다. 39조의2에서 시행규칙 37조 관련 준용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동일하게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정답이 될 수 없는 점 참고바랍니다.
23:21
22.06.26.
이제 오류그만
삭제된 댓글입니다.
01:19
22.07.03.
439페이지 벌칙 311번
해설좀 부탁드립니다 아무리봐도 왜 1번인지 모르겠네요
21:31
22.07.29.
해당부분 과태료 부과 개별기준 비고사항 확인 후 이해가 안될 경우 재질문 부탁드립니다.
00:43
22.07.30.
흠흠
해당문제 확인결과 이상없습니다. 정의 부분 참고바랍니다.
00:36
22.08.01.
P.283 60번 보기 1번 맞는보기 아닌가요?
모든보기가 다 맞는거같은데 혹시 뭐때문에 틀린지 알수있을까요?
18:10
22.08.17.
ㅇㅇ
해당부분 철도안전법 시행규칙 9조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법령확인 후에도 모르시겠다면 다시 답글 달아주세요. 더욱 자세히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법령을 한번 더 보고 정독할 수 있도록 권고를 해드리는 것입니다.
01:58
22.08.18.
P.664 4번문제 정답 3번이 아닌 4번입니다.

사망자5명 : 14억4천
중상자 50명: 14억4천
재산피해 10억: 3억6천.
00:55
22.09.17.
ㅇㅇ
해당 부분 해설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제9조의2(과징금) 과징금 상한액 참고바랍니다.
03:19
22.09.17.
입교도우미
아무리 봐도 모르겠습니다. 사망자 5명이면 5~10명미만인 범위에 들어가니 14억4천 중상자 50명이면 50~100명미만인 범위에 들어가니 14억4천 재산피해액 10억이면 10~20억미만인 범위에 들어가니 3억6천아닌가요? 그래서 도합 32억4천맞는거 같은데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22:10
22.09.18.
ㅇㅇ
9조의2에 따라 과징금은 30억 이하로 부과하며, 처분기준에 따라 상한액을 넘길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최대폭인 30억입니다.
22:37
22.09.18.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